728x90

공장등록, 직접생산확인증명서 33

공장등록증 발급과 직접생산증명서 발급은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최근 들어오는 업무 상담 중에서 공장등록증을 발급받은 후에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발급을 준비하거나, 공공기관 입찰을 앞두고 급하게 직접생산증명서를 준비하시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 위 두 케이스 같은 경우 전자는 한 번에 할 수 있는 일을 두 번하는 문제가 생기고, 후자는 해당 입찰에 참가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 그래서 공장등록 의뢰로 문의주시는 경우 직접생산확인증명서도 함께 진행하도록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왜 공장등록증 발급과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발급을 함께 준비해야 할까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로 공공기관에서는 특정 제품 입찰 공고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춘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때 일정한 자격이란 중소기업확인서와 '직접생산확인증명서'를 의미합니다. ​ ..

공장등록증 신청시 체크 사항

안녕하세요, 다림행정사사무소 이영웅 행정사입니다. 공장등록증은 500㎡(약 150평) 이상의 공장은 의무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절차입니다. ​ 다만 500㎡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신청하면 되는대요. ​ 대기업 또는 군납품, 중소기업 혜택, 조달청 입찰 등을 진행할 때 공장등록증이 기본요건 또는 큰 이점으로 작용하는 만큼 500㎡ 미만인 경우라 할지라도 공장등록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래서 오늘은 공장등록증 발급 신청 전에 체크해야 할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공장등록증 신청 전 체크사항 1. 건축물대장 상 용도확인 ​ 500㎡ 이상일 경우에는 건축물의 용도가 공장으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 시설이 창고 등으로 되어 있다면 용도 변경을 우선 진행해야 합니다. ​ 500㎡ ..

공장등록증명서 발급완료 사례 - 군포시 공장

6월 중순에 진행했던 공장등록 신청 대행 건이 이번에 완료되어 공장등록증을 발급받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공장등록증명서 발급 업무를 의뢰한 곳은 IT계열 회사로 본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었는대요. 이번에 군포시에 공장을 무상 전대받으면서 공장등록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회사는 기존에 다른 공장에서 IT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는데, 추가로 Kiosk 생산 계획을 갖고 계셨습니다. 다만 기존 공장에서 Kiosk까지 생산하는 데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추가로 공장을 무상 전대받으셨다고 합니다. ​ 무상 전대해준 회사에서 전대해준 층을 전시장으로 사용중이었는대요. 현장실사 전까지 생산설비 셋팅을 완료하면 되어서 바로 공장등록 제출서류 작성부터 진행했습니다. ​ 공장등록증명서 발급 준비 서류 무상 전대받은..

728x90